본문 바로가기
재테크/국내 재테크

[정부지원] 청년도약계좌 알아보기 (feat. 10년동안 1억 만들기)

by 영스토리_ 2022. 3. 12.
728x90

청년도약계좌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영스토리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윤석열 정부에서 내건 공약 중 하나인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가 어떤 지원 정책인지 알아보고, 가입 기준 등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그리고 청년도약계좌를 통해 어떻게 재테크를 하면 좋을지 한번 정리해보겠습니다.

 

 


 

 

1. 청년도약계좌란?

 

이번 윤석열 정부에서 내건 공약 중 하나인 청년도약계좌란 근로, 사업 소득이 있는 청년(만 19세~34세, 1987년생~2003년생)의 중장기 재산 형성을 돕기 위한 제도입니다. 정부 지원으로 매달 70만 원씩 연이율 3.5% 저축해 10년 후 1억을 타갈 수 있도록 하는 콘셉의 지원 제도입니다. 소득에 따라서 지원 정도가 다르고, 상품 운용 형태가 다양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다만 아직 구체적인 시행 시기 등에 대해서는 발표되지 않았으니, 미리 준비만 해놓는다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간단 설명
그림 1 :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간단한 설명

 


 

2. 청년도약계좌 지원 방식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방식은 연 소득을 기준으로 나뉩니다. 다만 청년도약계좌 가입 기간 중 연 소득의 변화가 생길 경우, 바뀐 기준으로 다시 적용되어 지원이 될 예정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소득별 정부 지원 금액
그림 2 : 청년도약계좌 소득별 정부 지원 금액

 

 

1) 연 소득 2,400만 원 이하

연소득 2,400만 원 이하의 청년의 계좌 납입 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 본인 기여 한도 30만 원
  • 고정 정부 지원금 20만 원
  • 본인 저축 비례 정부기여 한도 20만 원

즉, 본인이 가입만 하고 납입을 하나도 안 해도 월 20만 원씩은 고정적으로 정부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인이 가입하고 월 30만 원씩 납입한다면, 30 + 20 + 20 = 70만 원의 납입으로 인정이 됩니다. 이 경우 10년간 4800만 원을 정부로부터 받고, 이에 대한 이자 954만 원까지 5754만 원의 혜택이 추가로 주어집니다.

 

 

2) 연 소득 3,600만 원 이하

연소득 3,600만 원 이하의 청년의 계좌 납입 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 본인 기여 한도 50만 원
  • 본인 저축 비례 정부기여 한도 20만 원

연 소득 2,400만 원이 넘어가게 되면 고정 정부 지원금이 없어집니다. 본인이 가입하고 월 50만 원씩 납입한다면, 50 + 20 = 70만 원의 납입으로 인정이 됩니다. 이 경우 10년간 2400만 원을 정부로부터 받고, 이에 대한 이자 477만 원까지 2877만 원의 혜택이 추가로 주어집니다.

 

 

3) 연 소득 4,800만 원 이하

연소득 4,800만 원 이하의 청년의 계좌 납입 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 본인 기여 한도 60만 원
  • 본인 저축 비례 정부기여 한도 10만 원

가입하고 월 60만 원씩 납입한다면, 60 + 10 = 70만 원의 납입으로 인정이 됩니다. 이 경우 10년간 1200만 원을 정부로부터 받고, 이에 대한 이자 239만 원까지 1439만 원의 혜택이 추가로 주어집니다.

 

 

4) 연 소득 4,800만 원 이상

연소득 4,800만 원 이하의 청년의 계좌 납입 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 본인 기여 한도 70만 원

연 소득 4,800만 원 이상인 경우는 정부의 지원은 받을 수 없고 비과세 혜택만 받을 수 있습니다.

 


 

3. 청년도약계좌 특징 및 주의점

 

청년도약계좌의 특징으로는 주식형, 채권형, 예금형 중에서 선택하여 상품을 운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기존의 문재인 정부에서 실행하고 있는 청년희망적금은 오직 적금 상품만 있는 것과는 다른 차이점입니다. 본인에게 맞는 운용 방식을 선택하여 가입하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청년도약계좌는 유사제도와 중복가입이 불가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즉, 기존의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가입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다만, 윤석열 당선인 측은 기존의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들에게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탈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주겠다는 입장을 보였기 때문에 한시적으로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기가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10년간 중도인출이 불가능합니다. 다만 생애최초 주택 구입, 장기간 실직이나 질병 등으로 장기간 휴직할 때, 재해 피해를 입었을 때 등 일부 경우에 대해서 중도 인출과 재가입이 허용될 예정입니다.

 

 


 

4. 청년도약계좌를 이용한 앞으로의 전략 및 결론

 

연봉이 4800만 원 이하인 경우, 정부 지원금이 있는 연이율 3.5%의 상품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지원금 액수가 적지 않아서 꽤나 혜택이 좋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연봉 4800만 원 이상인 경우에는 연이율 3.5%에다가 비과세 혜택이 있는 나쁘지 않은 상품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해가 지나면서 상승하는 연봉에 따라 혜택이 줄어들 수 있으니, 지금 연봉 구간만 생각하지 말고 반드시 미래의 나의 예상 연봉도 생각해서 얼마나 지원을 받을 수 있을지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게다가 상품운용형태를 주식형, 채권형, 예금형으로 내가 원하는 대로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예금형보다는 주식형을 선택해서 10년 동안 장기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굉장히 매력적으로 다가옵니다. 그리고 해외주식형 국내 상장 ETF, 배당주 등에 투자할 때 발생하는 세금에 대해서도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을지 기대가 됩니다. 이 부분은 아직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되기 전이기 때문에, 반드시 추후에 확인이 필요한 사항입니다.

다만 10년 동안 나의 자금이 묶인다는 점에서 큰 리스크가 될 수 있습니다. 1억에 가까운 큰돈이 묶여있다는 것이 자산 관리 측면에서 좋은 상황은 아니죠. 하지만 역으로 이용하면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나도 모르게 단타 투자를 하시는 분들에게는 강제로 10년 동안 다른 곳에 돈을 쓸 수 없게 만들어주기 때문에 오히려 좋은 환경을 만들어 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상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ISA, IRP 등 다양한 절세 재테크도 있지만 이렇게 정부의 지원을 직접적으로 받을 수 있는 상품이 혜택은 더 좋을 것입니다. 미리미리 알아보고 혜택을 최대한 받을 수 있게 준비해놓으시길 바랍니다. 아직 구체적인 시행 시점이나, 세세한 정책 사항은 나오기 전이라 변동사항은 생길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추후에 구체적인 사항이나, 변경사항이 생기면 또 업데이트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와 함께 다른 다양한 재테크 수단들을 이용해서 티끌모아 태산, 큰돈 모아 더 큰돈을 만드시길 기원하겠습니다.

 

 

 

절세 재테크와 관련된 이전 포스팅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포스팅을 확인해주세요.

2022.02.20 - [재테크/국내 재테크] - [절세 재테크]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가 뭔가요? ISA로 배당소득세 줄이기

 

[절세 재테크]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가 뭔가요? ISA로 배당소득세 줄이기

안녕하세요. 영스토리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절세 재테크 방법 중 하나인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해보고 알아보려 합니다. 국내 주식을 하면서 절세할 수 있는 여

youngstory345.tistory.com

 

 

 

댓글